컨덕션 메커니즘
insulator 을 넘기위해 thermal , field 등.. 방출이 있다.. 뭔가 약간 양자화학에서 나오는 터널이펙트 같기도?!
Cryptography : 암호학
Krypto = hidden & Graphy = write
messege = 원문일때
복호화함수 (암호화함수(messege))=messege
key는 암호를 푸는 열쇠. 최대한 넓으면 넓을 수록 암호를 풀기 어려워짐
또한, 암호문 내에서 정보를 주지 않을때 가장 풀기 어려움
Pr[messege] = Pr[messegeㅣ암호문에서 정보 안경우] 일때 퍼펙하다고 봄. 걍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말이니까 !
1) 그 태초엔 시저사이퍼가 존재했음 (Caesar cipher)....
attack 을 key 1로 잡고 암호화 하면, buubdl 로 보내진다.
limit: 이건 key 경우의수 26밖에 안됨 !!!!!! ㅠㅠ
2) 임의로 알파벳 1:1 대응
a=b , b=x, c=p...로 1:1대응하여 보내는 것이다. aabc = bbxp 로 보내진다.
limit : key 는 26! 라 땡큐지만, 영어의 언어적 특성때문에 (1. 자주 쓰이는 빈도의 알파벳이 존재 e같은.. 2. 규칙성 존재) key에 대한 정보가 너무 많음
3) Polyalphabetic Substitut: 다중치환암호 - key를 시퀀스로 줄 수 있다.
key = {0,1,2,5,3} 일때 apple = aqwrh 가 됨
limit : n자리 가능 key 경우의수 (key(n) 의 수) 가 26가지이므로 26^t라는 .. 어메이징한 복잡성을 띈다.
but Kasiskis method 에 의하면, key의 갯수가 들통났을 경우 26*t 로 줄어버린다.
RSA 알고리즘이란 것도 존재
신경과학 개괄









쥐들은 유전자 변형이 되어 뇌속에 어떤 단백질이 생성된다. 사람이 바이러스를 주사하면 그 단백질에 바이러스가 들어가서 광을 쏴주면 반응할 수 있게 된다. 이걸 활성화 시켜보자 !!!!!!!
인거고..
지금 인젝션 procedure는 워드파일이 없길래
스크류 전극 & EMG 센서를 쥐의 두개골에 다는 법을 알려드림
6.30 스크류 전극 수술
스크류 박는이유 : sleep, non sleep 뇌파로 확인한다. Sleep stage로 구분함.
EMG -> neck muscle 에 박는다
각막이 마르면 하얘진다.
2. 스크류 구멍 브레그마[유연2] 기준 찍고, 실험에 쓰이는 마우스 모두에 통일성 있게 구멍을 뚫는다[유연3] .
3. 핀셋으로 스크류 잡고 드라이버로 돌린다. [유연4] .
5. eeg 스크류 후 약병의 핑크색 레진[유연5] 을 담는다. 물약병의 레몬색-투명-기름색 액체를 조금 뿌려 물기있게 섞는다.
일단 eeg 먼저 shielding 한다.
6. 맨뒤 EMG는, 중간중간 약하게 코팅을 벗긴 텅스텐을 사용한다. [유연6] 뒷목에 있는 두갈래로 나눠진 근육에 날카로운 핀셋을 꽂아 길을 만들어주고, 거기에 텅스텐을 넣어서 뺀다. 그걸 구부려서 검정 네모에 걸거나, 묶는다 이후, 선들이 난리가 나있으므로 순간접착제로 선들을 붙인다.
7. 앞뒤로 두툼하게 레진을 덮는다.
덮고, 마지막에 5분정도 놔둔뒤 다시 레진을 덮는다.
[유연1]머리를 밀 때, 도루코 말고 핀셋과 가위로 ~
[유연2]거의 머리 정 중앙
[유연3]초장에 뽕 구멍을 뚫어야한다. 결국 다시하게 되고, 우겨넣을경우 뇌가 갈라질 것이다.
[유연4]이때,
- 제발 …! 레퍼런스는 맨밑에 !!!! 람다 뒤에 !!
3개라인 중 뒤 두개가 레퍼런스임
-납땜이 너무 밑에까지 내려와있으면 뼈가 빠개지므로, 처음에 스크류를 만들 때 잘하길 바란다.
- 적당히 박히기만 하면 될 것같다. 그리고 스크류 박으면서 레진을 부어보자.
[유연5]레진을 할 때, 전선이 너무 길면 안으로 집어넣어 굳혀야 한다. 머리통 너무 크면 안됨 !
[유연6]피가나면, 좀 멎은 뒤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