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r my future

[논문] 논문 잘 읽는법

by Seaborn_YOO 2021. 2. 22.

2021-02-22

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job_response&id=59665

 

논문읽기 ...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BRIC

 

www.ibric.org

 

<그래그래님의 댓글 >

초보자 논문 읽는 방법..

일단 큰 해딩부터 보세요, 타이틀, 썹헤딩..순으로.
볼드체(굵은글씨)에다 문단이 나눠져있기 때문에 눈에 들어오는데
그것부터 훑어보세요 크게 네가지예요

Introduction
Experimentals
Results&Discussion
Conclusion

그 다음 논문 첫페이지 윗부분에 초록Abstract을 반복해서 읽으면
무슨 실험에 대한 내용인지 아주 큰 맥락이 보여요.
용어 이해가지 않는 부분은 찾아볼 수 밖에 없어요.
익숙해지면 빠른 속도로 이 부분에서 내가 하는 실험과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이 되요

그 다음, Introduction을 읽으면
대체로 Background를 설명해줘요
실험시작을 하게 된 배경이나..기존에 행해지는 환경..
General한 부분을 짚어서 내려오면서
실험의 필요성과 궁극적 목적에 대해서 알려줘요
좋은 논문은 이게 아주 자연스럽게 flow로 이어지고 이미 이 단계에서
무슨 실험을 왜 하고자하는지 쉽게 이해가 되요.

 

Experimentals에서는
다른 연구자들이 보고도 실험을 재현할 수 있는
실험상의 절차와 기구들에 대한 나열을 해줘요

Results & Discussion에서는
실험결과(graphs, figures, tables etc)와 함께 그 실험에 대한 해석을 붙여요.

Conclusion에서는
앞서 Introduction부분에서 언급한
실험목적에 부합되는 답과(기대했던 답) 실제 실험상의 차이점,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앞으로 발전적인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방법 등이 거론되요

 

거의 모든 논문들이 뼈대는 위에 언급한대로 흘러요.
과학자들 소통방식대로.

지금부터 논문을 계속 읽는 연습을 하시다보면,
어느 순간, 내가 논문을 쓰게 될 때
그 방식대로 자연스럽게 쓰고 있게 되니.,,
석사 시작한 지금 단계부터 벌써 겁 먹거나..
번역기나 번역가 도움 받을까 고민하지 마세요^^

어떻게 보면, 과학논문이,,여타 영어에세이나 이런것보다
읽기 쉬울 수도 있어요. 간단명료체기 때문에...화려한 수식이 들어가는게 아니거든요.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고
다들 터득해가면서 노하우를 쌓아가는거니깐,
힘내세요^^



(참, 위 방법은 제가 제 식대로 터득한거예요..^^;
궁금하거나 힘든 점 있으면
주변에 선배님들 교수님들께 많이많이 여쭤보고 공부하세요.
질문하면, 무작정 그만 하라고 무안주거나 실력이 안된다고 핀잔 주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 중 한 둘은 나에게 큰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전해주시는 분들도 있으니, 자신이 노력하는만큼 얻을 수 있는 것 같아요.
천천히 가도 하나하나 짚어가면서 내 내공을 스스로 쌓아가면서 가면 나중에 좋은 날이 있을거예요. 그렇지않고 편법이나 주변사람들 도움만 구하기만 하면 결국 내 것이 되지 못하고 석사나 박사 후에도 겉도는 사람이 되니..처음 시작부터 탄탄하게 짚어가세요)

석사 입학 축하 드려요.
학문의 길에 들어시게 된 것 축하드리며
힘든 일 있을 때, 포기하지 마시고 헤쳐나가시길 바래요!

논문읽기가 어려운거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쉽게 다가가세요.

어떤 사람이 실험을 통해서 새로운 걸 발견하거나 오류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 재발견/재해석하게 되었을 때, 그걸 다른 연구자들에게 쉽게 알리기 위한 소통방식이라고 편하게 생각하세요.
서로서로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소통포맷이 생긴거고 그것에 맞게 쓰여져있으니, 오히려 읽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해가 쉽게되게 된거라고^^;;;

아마 몇개월 후에는..글쓴 분도
내 실험과 연관해서 논문 하나라도 더 찾아서 읽어보려고 하게 될지도 몰라요. 재밌으니깐요.



행운을 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