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8.14] teps/ approximation /교사의 상담자교육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교사지각 및 내담의지 approximation : HARD 문제 : 모든 케이스를 봐야함. 다항시간안에 못푼다 !!!!! => 그럼 approximation 으로라도 풀어야지 어떻게 그 알고리즘이 괜찮은건지 판단할래? -> optimal X 를 두고 몇배정도 차이나는지 계산 ex : Load balancing Problem ; 여러 강도의 job을 people한테 어떻게 균등하게 분배 할래? sol1) sort 후 순서대로 한개씩 준다음, 가장 적은 사람에게 다음 job 할당 ; 가장 많이 일하는 사람에게 새로 들어온일 = b, 총 일 = a , optimal solution =X 라하자 b 2021. 8. 14. [21.08.08] capacitance / 마음챙김 / computation intractability/ 형광광도계 capacitance capacitance = 전하를 저장을 얼마나 했니? oxide 를 얹은 p-type에 + 전하를 계속 인가하면 deplition 이 생기고, 결국엔 전자가 쌓여 마치 n-type 인것처럼 군다. 이를 inversion 됐다고 말함 https://youtu.be/wEATl-AY6Xg 마음챙김 - mindfullness 요즘 뜨는 상담기법 !! 동남아 남방불교권에서 시작되었고, 이름 또한 본래 pati 어로 'sati'이다. 뜻은 영어론 mindfullness, 한국어론 마음챙김 '감정을 있는그대로 받아들여라' 그 감정의 근원이나 등등등 2차 생각을 하지 말고, 숙고하지도 말며 3자의 입장에서 그냥 그 감정의 존재를 받아들여라. 병원에서 어떻게 치료방법으로 쓰나 ? -> MBSR(Mi.. 2021. 8. 9. [21.07.30] Journal club Networks of Brain / transister & diod / Network flow 1. transister & diod diod - n, p형 반도체를 접합한것. 전류를 한쪽으로만 흐르게 도움. transister - diod 에 n형을 더 덧붙임. 증폭시키는데 한몫함. 이때, 전자농도가 높은 n형반도체를 이미터 라고 하고, 전자농도가 낮은 n형반도체를 컬렉터라고 한다. MOSFET : transister의 일종 2. Network flow 어떻게 하면 효율적이게 수송? 어떻게 하면 효율적이게 공급? -> 어떻게 하면 이 범죄자를 잡아? & TA Office hour 배정? 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알고리즘 . 이때, max flow 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반대편의 undo edge 를 그릴 수도 있는데, 이는 수정해야 하는 양을 계산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간단한 그래프를 현실문제.. 2021. 7. 31. [21.07.26] Journal club - VS habitual seeking / 상담자의 역전이 / Dynamic programming / 웨이퍼제작과정 VS habitual seekig - Primate의 Ventral striatum 은 previously learned good value 한 것을 habitual 하게 seeking 하는 passive skill을 관장한다. 그리고 그 메모리 또한 갖고, 인출한다. 상담자의 역전이 - 전이란? 역전이란? : 자신의 과거를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이입해 생각함. 좋을수도 있지만 안좋을 수도 있음. 상담자의 경력 & 성격(불안도 , 자기효능감, 개방성)에 영향을 받음. Dynamic programming - 최적화 한 프로그래밍을 하자! 최대한 중복계산(overlapping problem)을 없애는 알고리즘을 만들자. by 캐시기억, memoization ex 피보나치 수열계산, DN.. 2021. 7. 26. 유용한 사이트 http://new-learn.kr/neurowiki/index.php/%EC%9C%A0%EC%9A%A9%ED%95%9C_%EC%82%AC%EC%9D%B4%ED%8A%B8_%EB%AA%A9%EB%A1%9D 2021. 5. 21. [논문] 논문 잘 읽는법 2021-02-22 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job_response&id=59665 논문읽기 ...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 BRIC www.ibric.org 초보자 논문 읽는 방법.. 일단 큰 해딩부터 보세요, 타이틀, 썹헤딩..순으로. 볼드체(굵은글씨)에다 문단이 나눠져있기 때문에 눈에 들어오는데 그것부터 훑어보세요 크게 네가지예요 Introduction Experimentals Results&Discussion Conclusion 그 다음 논문 첫페이지 윗부분에 초록Abstract을 반복해서 읽으면 무슨 실험에 대한 내용인지 아주 큰 맥락이 보여요. 용어 이해가지 않는 부분은 찾아볼 수 밖에 없어요. 익숙해지면 빠른 속도로 이 부분에서 내가 하는 실험과 연관.. 2021. 2. 22. 이전 1 2 다음